사업배경
- 정신적/정서적 고위기 학생에 대한 전문의의 자문 및 상담 필요성 대두
- 정신과 전문의 분포가 수도권에 집중되어,
지방 소도시 및 도서벽지 지역 전문가 개입 어려움(수도권 59% 분포)
사업 목적
-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진의 자문을 통해 위기학생 관련자에 대한 상담 지원 및 통합지원체계 구축
- 전문의의 원격 화상 자문으로 지역적 한계 극복 및 상담(교)사 역량 강화
사업 대상
- 전국의 위기 학생 관련자(상담(교)사, 교사, 학부모, 학생 등)
사업 내용
- ‘원격 화상 자문 서비스’를 통해 고위기 학생 지도에 대한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자문 제공
(사례별 기본 5회기 가능)
- 자문 결과에 따라 상다미쌤 상담, 정신과 병원 연계, 유관기관 상담 등 지원
- 자문 신청 가능 사례 (예시)
- 청소년의 다양한 정신적/정서적 문제 증상에 대해 전문가의 자문이 필요한 경우
(문제 증상에 대한 이해, 정신과적 견해, 약물 ∙ 정신과 치료 문의 등)
- 학급 내 학생 지도 방향 및 부모-자녀 간 관계에 솔루션이 필요한 경우
- 주요 유형 : 학교폭력, 가정폭력, 정신건강, 과의존(스마트폰·게임), 위기(자해·자살), 성 관련 등
사업 효과
- 전국 대학∙종합병원 소속의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자문 제공
- 병원 접근성이 낮은 도서산간에서도 지역적 제한없이 자문 받을 수 있음
- 위(Wee)클래스 혹은 위(Wee)센터에서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참여
유의사항
- 본 사업은 진료의 목적이 아닌, 위기학생 관련자 대상의 자문 상담 제공이 목적임
- 모든 자문은 각 위(Wee)클래스 혹은 위(Wee)센터 내의 지정 장소에서 진행
- 원활한 자문을 위해 상담(교)사는 매 회기 필수 배석
- 학부모/학생은 자문의와 사전협의를 통해 2회기 이후부터 참여 가능
(단, 학생의 직접 참여는 사례에 따라 제한될 수 있음)